대기오염은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자연스레 발생하게 되었다. 일상생활은 윤택하고 편리해졌지만 환경은 그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여러 가지 대기오염물질들의 발생원인 살펴보았으며 각 대기 오염물질들이 인체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대기오염으로 인해 환경호르몬, 휘발성유기화학물, 황화학물, 질소산화물 등이 발생하게 된다.
대기오염이 인간에게 주는 피해
대기오염물질은 다양하게 발생하지만 대표적인 물질들의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환경호르몬 중 납, 수은, 카드뮴, 농약 등은 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석면,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등은 호흡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수은, 카드뮴, 염화탄화수소 등은 신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합성세제, 윤활유, 염화탄화수소 등은 피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휘발성 유기화학물은 그 자체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벤젠 등의 고리를 이루는 방향족 탄화수소는 발암성을 가진다. 할로겐 탄화수소는 발성이나 간독성을 나타낸다. 지방족 탄화수소류는 광화학 반응을 하여 스모그 발생의 원인이 된다. 프레온가스와 이염화메탄 등의 염소계 유기용제는 안정적인 상태로 성층권까지 도달하여 오존층을 파괴하여 지구로 유입되는 자외선을 증가시킨다. 다이옥신은 장기간 대기 중에 머무르면서 자연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황화합물은 이산화황과 황화수소가 대표적인 대기오염물질이다. 이산화황은 인체의 호흡기계통에 질환을 유발한다. 자극성, 질식성 가스로써 호흡기에 영향을 주지만 낮은 농도에 단기간 노출 될 경우에도 급성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분진이나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 미스트가 되어 단일물질과 비교하여 10배 더 강한 영향을 미친다. 시야감축, 생리적 장애, 압박감, 기도저항 등의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황화수소는 대기 중 가장 많은 황화합물을 차지하고 있다. 무색의 유독한 질식성 가스이다. 적은 양으로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황화수소는 산소가 없는 호흡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다. 실제로 산소가 부족하고 미생물이 많이 있는 곳에서 많이 발생한다. 폐수처리장이나 정화조 등의 밀폐공간이 가장 위험한 곳이다. 밀폐공간에서 질식사는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황화수소에 의한 위험 요소가 가장 크다. 밀폐공간 작업 전에는 항상 충분한 환기를 하고 작업 전 황화수소를 비롯한 가스들의 농도를 측정한 후에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동식물들에게 치명적인 영향들
식물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오염물질들은 분진, 아황산가스, 황화수소, 질소산화물, 오존 등 인간이 영향을 받는 물질들과 유사하다. 분진은 대기 중에 많으며 황사나 미세먼지가 심해짐에 따라 그 영향이 더 커지고 있다. 분진은 식물의 기공을 막아서 동화작용을 방해하고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친다.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그 영향이 더 커지고 기상 조건 등의 다른 조건도 영향을 미친다. 아황산가스가 있을 경우 식물의 엽록소를 파괴하여 백화현상을 유발한다. 그 피해는 식물의 기공이 열리는 낮 동안에 더 크다. 황화수소는 식물의 뿌리를 부패시키거나 새싹의 생장점에 침입하여 영향을 미친다. 지표식물로는 오이, 담배, 토마토, 무 등이 있다. 질소산화물은 백색이나 황갈색의 불규칙적인 반점이 생기게 만든다. 대체적으로 식물보다는 인체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지표식물로는 해바라기, 진달래, 담재, 갓 등이 있다. 오존은 다른 화학물들과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갈색이나 회백색의 반점이 확대되면서 엽록소를 파괴하여 동화작용을 방해한다. 지표 식물로는 파, 담배, 무, 시금치, 토마토 등이 있다. 염소가스는 잎 전반적으로 회백색의 미세한 반점을 생성시킨다. 지표 식물로는 코스모스, 메밀, 알팔파 등이 있다. 염화수소는 물에 쉽게 용해가 되어 염산 상태로 식물에 영향을 미친다. 에틸렌은 매아 낮은 농도에서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조기낙엽, 줄기신장 억제, 성장감퇴, 상편생장 등의 영향을 미친다. 지표 식물은 토마토, 메밀, 스위트피, 코스모스 등이 있다.
'환경과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질오염원과 수질오염의 지표 (0) | 2023.01.18 |
---|---|
안전과 보건에 관한 교육 내용 및 방법 (0) | 2023.01.16 |
안전과 관련된 인간의 특성과 안전이론 (0) | 2023.01.13 |
대기오염의 발단 및 대기오염으로 발생한 사고 (0) | 2023.01.13 |
안전 보호구 종류 및 산업 안전, 보건 표지 (0) | 2023.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