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오염은 자연적 자정능력 이상의 오염원이 수계로 유입되어 수질이 오염되어 환경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오염이 지속될 경우에는 생명체가 살아 가는데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질오염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생활하수이다. 산업화가 진행되고 삶의 질의 높아지면서 인간의 삶에 대한 요구 사항도 많아졌다. 물의 사용량도 더불어 증가하게 되었으며 수질오염에 기인하는 비율도 증가하게 되었다. 생활하수는 음식찌꺼기, 정화조, 합성세제에 있는 물질들이 하천이나, 호수, 강물 등을 오염시킨다. 수질오염은 궁극적으로 모든 생명체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수계로 유입되는 오염원들
가정오수 같은 경우 유기물이 수계로 유입이 된다. 세탁 시에는 세제가 유입되며 화장실의 배설물도 유입이 된다. 공장 폐수의 경우 가정오수 보다 양은 적으나 유독물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법적으로 유출량을 규제하고 있다. 실제 공장에서는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질오염물 배출시설로 분류가 된다.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은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전에 법적 기준 이하로 만들기 위한 방지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정기적으로 수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법적 기준 충족을 해야 한다. 배출량이 많을 경우에는 실시간 모니터링 설비를 설치하여 배출되는 수질의 농도를 정부 관리 기관으로 전송한다. 농업에서는 비료나 살충제, 농약 등이 비점오염원으로 분류가 된다. 비가 내릴 경우 농약을 비롯한 약물들이 수계로 유입되어 수생태계에 농축되어 치명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오염원들의 확인 방법
수질오염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대표적으로는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과 질소화학물의 생활화학적 산소요구량, 용존 산소, 화학적 산소요구량, 저질 산소 요구량 등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용존 산소량은 수중에 산소가 얼마나 녹아 있는 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수중의 산소 농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오염이 덜하다고 본다. 오염도가 낮을수록, 수온이 낮을수록, 압력이 높을수록 산소의 농도는 높아진다. 측정은 윙클러 아자이드화 나트륨 변법을 통해서 측정한다.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물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호기성 상태에서 호기성 미생물이 20도씨에서 5일간 산화시킬 때 소모되는 산소의 양을 말한다. 수치가 높으면 물속에 호기성 생물이 많은 것을 뜻하므로 오염이 심한 것을 나타낸다. 보통은 5일 동안 소모되는 산소의 양으로 수치를 나타내지만 전체 소비되는 산소량은 20일 정도 산화시킬 때 소모되는 산소의 양으로 계산한다.
오염 대처 방안
유기물질은 대부분 음식찌꺼기나 분뇨 등에서 많이 발생한다. 평소에 음식물 쓰레기를 최소화하며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는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한다. 합성세제는 미생물 분해를 어렵게 만들고 공기 중의 산소가 물속으로 녹아들어 가는 것을 방해한다. 세제에 포함된 인은 인산염이 되어 부영양화를 일으켜 수질 오염을 유발한다. 독성이 강한 카드뮴, 납, 니켈, 비소 등의 중금속은 공장폐수, 산업 폐기물, 쓰레기 매립장에서 흘러 수계로 유입된다. 중금속은 먹이사슬을 통해 축적되어 결국은 최종 소비자인 인간에게 영향을 미친다. 유독물질은 매우 적은 양으로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취급할 경우에는 용도에 맞게 최소한으로 사용한 뒤 적절하게 폐기시켜야 한다. 석유 등의 유류는 물보다 가벼워 수계로 유입 될 경우 물 위에서 대기와 수계의 상호작용을 차단한다. 용존 산소를 감소시키고 수생물의 호흡에 영향을 준다. 평소 유류 배출을 최소화하고 유조선 등의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일상생활에서 세제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수계로 유입되는 계면활성제의 양을 줄여야 한다. 샤워시간을 줄여 사용되는 물의 사용량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많은 폐수를 배출하는 점오염원인 공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 공장이 법적 기준치를 준수하는지 지역 주민의 관심이 필요하다. 평소 하천 정화활동 등 환경오염을 줄이려는 행사 등에 참여하여 적극적으로 수질오염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환경과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자상 대기오염물질 특성 및 영향 (0) | 2023.01.24 |
---|---|
안전과 관련된 주요한 법률 (0) | 2023.01.20 |
안전과 보건에 관한 교육 내용 및 방법 (0) | 2023.01.16 |
대기오염물질이 인체와 동식물에 미치는 영향 (0) | 2023.01.14 |
안전과 관련된 인간의 특성과 안전이론 (0) | 2023.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