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의 유해한 자극물을 차단하거나 영향을 감소시키려는 목적을 가지고 작업자의 신체에 장착하는 것을 안전 보호구라고 한다. 흔히 안전 보호구라고 하면 안전모, 안전화, 각반, 고소작업 추락방지 장비 등이 대표적이다. 개인보호구의 구비 요건은 착용 시 작업이 용이해야 한다. 유해, 위험물에 대하여 충분히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어야 한다. 보호구의 재질 등이 외부 자극으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해 줄 만큼 견고해야 한다. 구조 및 가공성이 좋아야 한다. 외관이 보기 좋아야 한다. 안전 보호구 선택 시에는 사용 목적에 적합해야 한다. 보호구 인증에 합격하고 성능이 충분히 좋아야 한다. 작업 시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한다. 착용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사용에 편리해야 한다.
작업자를 지키는 도구들
안전 보호구는 작업자를 위험한 상황에서 지키는 역학을 하므로 굉장히 중요한 구성품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안전보호구들은 인증을 받아야 한다. 안전모, 안전화, 안전장갑, 방진마스크, 방독마스크, 송기마스크, 보호복, 안전대, 용접용 보안면, 방음용 귀마개 또는 귀덮개 등이 해당한다. 안전모의 종류는 기호에 따라 AB, AE, ABE 3가지로 분류된다. AB의 경우 물체낙하, 추락의 위험을 방지 및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합성수지로 되어 있으며 내 전압성에는 해당이 없다. AE와 ABE의 경우 물체낙하, 외부 물체 충격으로부터 위험을 방지, 머리 부위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합성수지로 되어 있으며 내전압성이 있다. 안전모의 구비 요건은 일반적으로 모체, 머리고정대, 머리받침고리, 머리받침끈, 턱끈이 있어야 한다. 안전대의 경우 벨트식과 안전그네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안전대는 고소작업 시 작업자가 실수로 미끄러지더라도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추락사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치명적이므로 고소작업 시에는 반드시 안전대를 착용하도록 해야 한다. 호흡용보호구에는 방진마스크와 방독마스크로 분류할 수 있다. 방진마스크의 경우 분진, 미스트 등이 호흡기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구이다. 방진마스크는 여과효율이 좋고 흡배기 저항이 낮아야 한다. 시야가 넓어야 하며 안면밀착성이 좋아야 한다. 중량이 가볍고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의 고무재질이 좋고 잘 밀착하여 분진이 옆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한다. 산소 농도가 최소 18% 이상인 곳에서 사용해야 한다. 방진마스크는 격리식, 직결식 등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방독마스크의 경우 작업환경에서 유독한 가스 등이 발생되는 장소에서 사용한다. 방독마스크는 가스를 제거해야 하므로 방진마스크의 필터 기능보다 우수한 성능의 마스크가 필요하다. 방독마스크는 정화통의 색깔에 따라 종류가 구분된다. 유기화합물용은 갈색, 할로겐용, 황화수소용, 시안화수소용은 회색, 아황산용은 노란색, 암모니아용은 녹색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방음 보호구는 귀마개와 귀덮개로 구분 할 수 있다. 귀마개는 귀에 잘 맞고 쉽게 빠지지 않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귀덮개는 귀 전체를 덮고 소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제품을 잘 선택해야 한다.
안전을 안내하는 알림들
산업안전, 보건의 표지는 금지 표지, 경고 표지, 지시 표지, 안내 표지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금지표지는 탑승금지, 금연, 화기 금지, 물체 이동 금지, 차량 통행금지 등이 있으며, 빨간색과 검은색으로 표시힌다. 경고 표지는 고압전기 경고, 방사성물질 경고, 고온 경고, 저온 경고, 낙하물 경고, 레이저광선 경고, 부식성 물질 경고 등으로 분류가 가능하며 노란색과 검은색으로 표시한다. 지시 표지는 방진마스크 착용, 방독마스크 착용, 보안면 착용, 안전모 착용, 안전장갑 착용, 안전복 착용 등으로 분류가 가능하며 파란색과 흰색으로 표시한다. 안내 표지는 세안장치, 비상구, 응급구호 표지 등이 있으며 흰색과 녹색으로 표시한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위험 요소가 있는 곳에는 안전, 보건 표지들이 많이 부착되어 있다. 근로자들이 무심코 지나치지 않고 유심히 살펴볼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로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평소 관리자들의 안전 교육과 인식을 고취하는 역할도 상당히 중요하다.
'환경과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과 관련된 인간의 특성과 안전이론 (0) | 2023.01.13 |
---|---|
대기오염의 발단 및 대기오염으로 발생한 사고 (0) | 2023.01.13 |
지구상 물의 특성 및 분포와 순환 (0) | 2023.01.12 |
안전 점검 및 작업에 따른 점검 내용 (0) | 2023.01.11 |
우리나라 대기오염의 현황 및 대기오염물질 분류 (0) | 2023.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