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는 생물체가 존재하기 위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불가결한 존재이다. 인간은 산업화를 통하여 대기오염물질을 다량으로 방출하게 되었으며 대기의 자정능력을 잃게 만들었다. 대기오염이 발생하여 여러 가지 피해가 발생했으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대기오염물질을 관리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대기오염을 처음으로 인식한 계기는 산업화가 제일 먼저 진행된 영국에서 확인이 되었다. 런던형 스모그라고 부르고 있으며 무풍상태, 기온 역전의 현상으로 대기가 매우 안정화된 상태에서 발생했다. 겨울철의 가정난방과 산업화로 발생한 매연과 아황산가스가 먼지와 안개의 촉매 작용을 통해 아황산 스모그를 발생시켰다. 런던형 스모그는 파장이 가시광선과 비슷하며 회색의 짙은 안개 같은 형태를 띠게 된다. 이 스모그는 인체의 호흡기를 자극하며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여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LA 형 스모그는 무풍상태, 고기압의 기온역전에서 질소산화물과 탄화수소 등의 유기물질이 자외선에 의해 광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생성된다. LA형 스모그는 강한 산화작용을 발생시켜 산화성 스모그 또는 광화학 스모그라도고 불린다. 대기 중에서는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회색과 푸른색을 띠게 된다. 광화학 스모그는 인체의 코, 눈, 점막 등을 자극하며 폐기능을 약화시킨다. 고무의 균열, 식물의 엽록소 파괴 등과 같은 영향도 미친다.
우리나라의 스모그
한국의 경우 1960년대 급격한 산업화를 겪으면서 대단위의 공단과 자동차의 운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1965년 감천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매연 분쟁이 우리나라 최초의 환경분쟁사건이다. 산업화로 인한 환경오염의 증가로 정부에서도 대기오염에 대응하기 위하여 1963년 공해방지법을 최초로 제정하여 시행하게 되었다. 이를 보완하여 1977년에 현재의 환경 관련 법률의 기반이 된 환경보전법을 제정하여 공포하였다. 환경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1980년에는 환경을 전담하는 정부 기관인 환경청이 신설되어 운영되었다.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환경에 대한 문제와 관심이 증가하면서 현재는 환경부로 승격되어 운영 중이다.
우리나의 대표적인 도시인 서울의 경우 정확한 대기오염의 원인 등이 규명되지는 않은 상태이다. 서울은 도시화로 인하여 인구가 밀집되어 있으며 현재는 대부분 거주지역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산업화에 따른 공장에서 발생하는 런던형 스모그 보다는 급증한 자동차 운행으로 인한 LA형 스모그가 많이 발생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실제로 자외선이 강한 하절기에는 오존주의보 같은 LA형 스모그의 원인 물질들이 발생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은 자동차의 오염도가 전체 대기오염의 70% 이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서울을 관통하는 한강에서 발생하는 안개와 광화학 스모그가 만나 결과적으로 런던형 스모그와 LA형 스모그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서울형 스모그라고 부르기도 한다.
되돌릴 수 없는 사건 발생
전 세계적으로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동시 다발적으로 환경 오염 물질에 의한 안전사고들이 발생하였다. 멕시코에서 1950년에 발생한 포자리카 오염사건은 대표적인 인적 재해이다. 공장에서 조업 중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황화수소가 다량 누출되었으며 공장 주변의 거주민들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급성 중독자가 320명에 달하며 22명이 사망한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인도에서는 1984년 중부지방에서 미국의 살충제를 만드는 다국적 기업에서 메틸이소시아네이트라는 유독가스가 1시간 이상 누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사고의 원인은 원료 보관 탱크에 과다량의 메틸이소시아네이트를 보관했으며 안전장치를 작동하지 않고 작업을 진행하다가 가스가 누출되어 발생했다. 이 사고로 인하여 2,800명이 목숨을 잃었고 50,000명의 중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주위의 가축들은 떼죽음을 당했다. 이처럼 산업화로 인하여 생활의 편의성을 가져다준 것도 많이 있지만 그 이면에는 엄청난 피해를 가져온 사건들이 존재한다. 평소에도 대기오염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취급하는 기업들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것도 중요하다.
'환경과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오염물질이 인체와 동식물에 미치는 영향 (0) | 2023.01.14 |
---|---|
안전과 관련된 인간의 특성과 안전이론 (0) | 2023.01.13 |
안전 보호구 종류 및 산업 안전, 보건 표지 (0) | 2023.01.12 |
지구상 물의 특성 및 분포와 순환 (0) | 2023.01.12 |
안전 점검 및 작업에 따른 점검 내용 (0) | 2023.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