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 현장에서의 작업현장관리는 안전과도 직결되는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다. 작업 현장에 영향을 미치는 소요는 굉장히 다양하며 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각각의 요소들은 어떤 것들이 있고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면 작업 현장을 통제하고 안전을 관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인간과 가장 밀접해 있으며 열교환방법, 불쾌지수, 조명, 온도, 색채 등을 살펴보려고 한다. 현장마다 특색이 다르므로 각 현장에 맞게 작업현장을 분석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작업조건
인간을 중심으로 주위 환경과의 열교환 과정은 열균형 방정식을 통해서 나타낼 수 있다. 열축적(S)은 대사열(M)-증발(E)±복사(R)±대류(C)-한 일(W)로 표현이 가능하다. 열축적 값은 열 이득이나 손실을 나타내면 평형 상태에서는 0의 값을 갖는다. 대사열은 인체의 대사활동으로 계속해서 열을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성인 남자의 경우 보통 휴식상태에서 1Kcal/분, 앉아서 하는 활동은 1.5~2Kcal/분, 보통의 신체활동은 5Kcal/분, 중노동은 10~20Kcal/분을 발생시킨다. 대류는 고온의 기체나 액체가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하면서 일어나는 열전달이다. 복사는 광속으로 공간을 퍼져 나가는 전자에너지를 의미한다. 증발은 섭씨 37도씨의 물 1그램을 증발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이다. 실효온도는 감각온도라고도한다. 온도, 습도 및 공기 유동이 인체에 미치는 열효과를 수치로 통합한 지수로 상대습도가 100% 일 때 느끼는 것과 동일한 온감을 나타낸다. 실효온도에는 온도, 습도, 기류 등이 영향을 미친다. 불쾌지수는 기온과 습도에 의한 감각온도의 개략적 단위이다. 불쾌지수는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를 가지고 계산한다. 불쾌지수는 섭씨의 건구온도와 습구온도의 합에 0.72를 곱하고 ± 40.6으로 계산한다. 불쾌지수가 70 이하에서는 불쾌감 없이 쾌적한 상태이다. 70 이상 75 이하에서는 불쾌감을 느끼기 시작하며 76 이상 80 이하에서는 절반 정도가 불쾌감을 느끼기 시작한다. 80 이상에서는 모든 사람이 불쾌감을 가진다.
환경조건
생산 환경에서 조명은 지속적 작업 능률과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그 중요성은 잘 인식되어 있지 않다. 조명은 사용하는 기준에 따라 fc와 lux로 분류가 가능하나 우리나라는 m 단위를 사용하므로 lux가 널리 알려져 있다. 1 lux는 1촉광(cd)의 점광원으로부터 1m 떨어진 곡면에 비치는 광의 밀도를 나타낸다. 조도는 광도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기 반비례한다. 따라서 거리가 증가하면 조도는 급격하게 낮아지게 된다. 반사율은 표면에 도달하는 조명과 광속발산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옥내에서는 천장의 경우 80 ~ 90%, 벽은 40 ~ 60%, 가구는 25 ~ 45%, 바닥의 경우 20 ~ 40%를 최적반사율로 보고 있다. 천장과 바닥의 반사율은 최소 3:1 이상은 유지해야 한다. 온도는 작업환경조건에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요소이다. 안전활동에는 섭씨 19 ~ 21도씨에서 가장 적당하다. 심한 고온이나 저온 상태에서는 사고의 강도가 증가한다. 온도의 영향은 나이가 많을수록 온도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떨어져서 많이 받게 된다. 고온은 심장에서 흐르는 혈액을 냉각시키기 위하 외부 모세혈관으로 순환을 시키므로 뇌중추에 공급하는 혈액의 순환량을 감소시킨다. 저온 상태에서는 수족 부위의 한기 또는 손 사용의 감퇴를 불러일으키는 것과 관계가 있다. 온도가 섭씨 10도씨 이하일 경우에는 야외 작업을 금지한다. 내부 온도는 섭씨 73도 이하로 유지하여야 한다. 소음은 공장 등의 설비를 사용하는 작업현장에서는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부분이므로 잘 관리해야 한다. 기계의 적절한 설계 및 배치, 적절한 정비, 주유, 고무받침대 부착 및 소음기 등을 사용하여 소음원에 대한 통제를 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설비에 대한 방음을 실시하여 소음의 격리도 진행되어야 한다. 차폐장치 및 흡음재 사용, 음향처리재 사용이 필요하다. 귀마개와 귀덮개 등의 개인보호구도 필히 착용해야 한다.
'환경과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성 평가 및 위험관리 절차 (0) | 2023.02.05 |
---|---|
실내공기오염의 오염물질 및 유입경로, 영향 (0) | 2023.02.03 |
내연기관 자동차의 대기오염 (0) | 2023.01.31 |
안전과 관련된 인간공학이란 무엇일까 (0) | 2023.01.28 |
입자상 대기오염물질 특성 및 영향 (0)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