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 안전42 전기로 인한 화재와 예방 대책 일상생활에서 전기를 사용하다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편리성 뒤에 숨겨진 위험성을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오래된 구옥이나 전통시장 같은 곳에서는 전기적 안전장치들이 충분하지 않고 관련 법규들이 시행되기 전에 준공이 끝난 곳들이 많아 전기적 사용에 대한 위험에 취약하다.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원인이 불명확한 경우는 대부분 전기로 인한 화재로 판명 난다. 전기화재는 전기에 의한 발화원으로 시작된 화재를 말한다. 발화원으로 분류해 보면 이동식 전열기, 배선, 전자기기, 전기장치 등의 순서로 화재의 원인이 된다. 단락, 스파크, 누전, 과열 등의 발열현상에 의해서도 화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의 사항들이 발생하기 전에 현장을 확인하고 개선을 실시해야 한다. 전기화재의.. 2023. 3. 5. 실내 환기, 후드를 통한 국소배기장치 야외에서 일을 하지 않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할 때도 실내에 있고 일을 하지 않을 때도 집의 실내에 머무르게 된다. 결국 밀폐된 공간에서 지속적으로 호흡을 하고 생활한다. 특히 일을 할 경우에는 좁은 공간 내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일을 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그만큼 더 실내 공기의 오염 가능성이 높고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지게 된다. 환기를 통해서 외부 공기와 순환을 시켜 어느 정도는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가 있다. 국소 환기 장치 대부분의 국소배출장치는 후드, 덕트, 집진장치나 유해물질 처리시설, 송풍기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실내의 발생원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이 발생되는 즉시 제거하는 방법이다. 발생 시설에서 직접 흡인하는 방법이 있다. 처리가스량이 적어 .. 2023. 3. 4. 전기설비 및 전기 작업의 안전 관련 사항 전기설비는 현장에서는 필수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기계이다. 전기설비의 안전점검은 작업과 관련된 기계, 기구, 공구, 원재료, 동력 등이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문제점을 찾아내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상 유무는 물론이고 향후의 성능을 예측하여 수명 및 안전운전을 기하는 방안이다. 전기설비와 기기 전기 설비 중에서 퓨즈는 일정한 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전기가 차단되며 회로나 전기 설비를 보호하는 가장 기본적인 전류 자동차단기이다. 퓨즈는 쉽게 단절되어야 하므로 재료는 납이나 주석, 아연, 알루미늄 등의 합금으로 만든다. 저압용 포장 퓨즈는 정격전류의 1.1배를 정격 용량으로 계산한다. 30 암페어 이하에서는 2배의 전류로 2분, 30 ~ 60 암페어에서는 2배의 전류로 4분, 60 ~ 100 암페어에서는.. 2023. 3. 3. 염소 및 다이옥신 등 기타 유해가스 처리 염소 및 염화수소 등 유해가스는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각 유해 가스별 처리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자. 염소, 염화수소 처리 염화수소의 농도가 낮을 때는 충전탑을 사용해서 충분히 처리가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수용성이기 때문에 충전탑을 지나가면서 낮은 농도는 대부분 처리가 된다. 염화수소의 농도가 높을 때는 누벽탑을 사용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염화수소에 강한 재료는 PVC, 유리, 도자기, 고무, 폴리에틸렌 등이 있다. 염소에 강한 재료는 PVC, 폴리에틸렌, 유리, 고무 등이 있다. 흡착법은 활성탄이나 실리카겔 등의 흡착제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이다. 흡수법은 소석회나 가성소다를 사용하여 알칼리흡수법과 황산제1철 흡수방법이 있다. 배출가스량이 많고 염소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수산화칼슘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 2023. 3. 2. 이전 1 2 3 4 5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