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과 안전

실내 환기, 후드를 통한 국소배기장치

by 또로로로롱 2023. 3. 4.

 

야외에서 일을 하지 않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할 때도 실내에 있고 일을 하지 않을 때도 집의 실내에 머무르게 된다. 결국 밀폐된 공간에서 지속적으로 호흡을 하고 생활한다. 특히 일을 할 경우에는 좁은 공간 내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일을 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그만큼 더 실내 공기의 오염 가능성이 높고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지게 된다. 환기를 통해서 외부 공기와 순환을 시켜 어느 정도는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가 있다.

 

국소 환기 장치

대부분의 국소배출장치는 후드, 덕트, 집진장치나 유해물질 처리시설, 송풍기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실내의 발생원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이 발생되는 즉시 제거하는 방법이다. 발생 시설에서 직접 흡인하는 방법이 있다. 처리가스량이 적어 소요동력이 적으므로 경제적이다. 처리 가스양은 발생 가스양 보다 많지만 2배 이하에서 처리가 가능하다. 간접 흡인 방법은 발생원에 후드를 포착해서 흡인하는 방법이다. 처리 가스양이 많이 발생한다. 처리 가스양은 발생가스의 10배 이상이다. 

 

후드 장치

후드는 간접흡인하는 방식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발생 가스량에 비해 처리가스양이 많다. 매연이나 오염물질을 후드 내로 유입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의 흡인 속도를 제어 속도라고 한다. 가스의 성상, 확산조건, 주변의 기류 상태, 온도, 후드의 모양 등에 영향을 받게 된다. 비산속도가 없는 경우에는 탱크의 증발이 해당되며 제어속도는 0.3 ~ 0.5미터/초이다. 약간의 방출속도가 있는 용접이나, 도금 공정 같은 경우에는 제어속도가 0.5 ~ 1미터/초이다. 빠른 방출 속도를 가진 분쇄기나 분무 도장 같은 경우에는 1 ~ 3미터/초의 제어속도를 가진다. 급속한 방출 속도를 가지는 석재 연마 같은 경우에는 3 ~ 10미터/초의 제어속도를 갖는다. 후드는 모양이나 설치장소, 흡인방법, 먼지 포착방법 등 여러 가지 변수가 있으며 다양하게 사용된다.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발생원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포위식과 발생원이 후드 밖에 있는 외부식, 발생원의 운동력을 이용하는 리시버식 후드로 분류가 가능하다. 포위식은 발생원을 후드로 완전히 덮어서 오염물질의 방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발암성 물질이나, 병원성 물질 등 유독물질의 처리 공정에 사용한다. 작업장의 완전한 오염 방지가 가능하다. 발생원의 오염물질을 고농도로 흡인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공기흡입량이 적다. 주변 기류의 영향이 적다. 커버형, 글로브박스형, 챔버형 등의 종류가 있다. 외부식 후드는 작업장의 구조에 따라 발생원을 전체적으로 포위하지 못할 경우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전기도금공정 같은 경우에 개방형 탱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포집하기 위해 폭이 좁고 긴 슬로드형 후드를 사용한다. 폭이 넓은 오염에는 푸시풀 방식을 사용한다. 다른 종류의 후드에 비해 근로자가 방해를 받지 않고 작업이 가능하다. 작업자가 환기설비와 발생원 사이에서 작업을 하여 작업자의 건강에는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작업자는 위험성이 잘 숙지하고 보호구 등을 항시 구비하여 착용하도록 한다. 리시버식 후드는 오염물질의 열상승력이나 관성력을 이용하여 포집한다. 톱밥이나 철가루 등의 포집에 사용된다. 잉여공기량이 많아 오염물질이 유해성이 심할 경우에는 적용이 힘들다. 열상승에 의한 후드는 캐노피형을 설치한다. 연마기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에 대해서는 관성력을 이용하여 그라인더 커버형을 사용한다. 국소배기장치는 유독한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기 전에 제거가 가능하다. 국소적 흡인 방식을 사용하여 경제적이다. 오염물질 제거 효율이 높다. 부대시설비가 많이 든다. 후드는 발생원에 접근시켜 설치를 하여 국소적 흡인방식을 사용한다. 후드의 개구면을 좁게 하고 충분한 제거 속도를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송풍기의 정격용량에 여유를 갖도록 한다.

 

분진 이동

덕트에서 배기가스가 이동되는 속도는 분진의 퇴적이나 운전비 등을 고려하여 보통 10미터/초의 속도를 가지도록 한다. 함진 농도가 높을 경우나 가연성 분진이 있을 경우에는 이동속도를 높여 퇴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이동속도는 분진의 종류, 입도, 비중 등 여러 가지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