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비 방폭이란 폭발성 가스나 먼지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전기설비가 폭발이나 화재를 일으키지 않도록 설계 및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전기설비 방폭은 일반적으로 2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기설비 자체가 방폭 기능을 가지도록 설계하는 경우, 전기설비의 내부 구조와 소자, 물질 등을 폭발이나 화재를 유발할 수 없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제작합니다. 이를 위해, 방폭용 부품을 사용하고 전기설비의 배선, 접속 등을 폭발 및 화재 예방을 위한 안전한 방식으로 구성한다.
전기설비 주변에 발생할 수 있는 폭발성 가스나 먼지를 감지하여 전기설비 작동을 중지시키는 방식은 폭발성 가스나 먼지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전기설비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방폭구조의 표시는 종류를 나타내는 기호, 대상으로 하는 가스와 분진의 명칭, 폭발등급, 발화도의 기호를 표시하도록 한다.
필요성
폭발성 가스나 먼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환경에서 일반적인 전기설비를 사용하면 작은 스파크도 큰 폭발이나 화재를 유발할 수 있다. 방폭설비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설비의 스파크 발생을 최소화하고 전기설비 자체를 방폭시켜 폭발이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방폭설비는 법적으로도 필수적이다. 많은 국가에서는 폭발위험이 있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전기설비에 대한 방폭 규정을 제정하고 있다. 이러한 규정을 준수하지 않으면 법적인 책임을 지게 되므로, 방폭설비를 설치하고 유지보수하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필요하다. 위험 장소는 1급, 2급, 3급으로 나누어서 관리를 하고 있다. 발폭전기설비를 선정할 경우에는 발화도, 위험장소의 종류, 폭발성 가스의 폭발 등급 등을 고려해야 한다. 위험장소의 판정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위험가스의 현존 가능성, 위험 증기의 양, 통풍의 정도, 가스의 특성, 작업자에 의한 영향 등이다. 방폭구조의 구비조건은 시건장치를 하고 도선의 인입방식을 정확히 채택해야 한다. 접지를 하고 퓨즈를 사용해야 한다.
공사와 보수
방폭전기설비 공사는 폭발성 가스나 먼지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전기설비를 설치하는 작업이다. 이는 전기설비 자체가 방폭 기능을 가지도록 설계하는 것과 전기설비 주변에 발생할 수 있는 폭발성 가스나 먼지를 감지하여 전기설비 작동을 중지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방폭전기설비 보수는 방폭전기설비를 유지보수하는 작업이다. 이는 방폭전기설비의 정기적인 점검, 유지보수, 보수 및 교체 등을 포함한다.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는 전기설비의 안전한 운영과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다. 이는 방폭전기설비의 이상을 빠르게 발견하고, 이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다. 보수 및 교체는 방폭전기설비의 부품이나 소자 등이 손상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 수행되는 작업이다.
방폭전기설비 공사와 보수는 반드시 전문 업체에 의뢰해야 한다. 또한, 공사나 보수 전에는 반드시 해당 국가의 방폭 규정에 따라 설계 및 시공을 해야하며, 이를 위해 전문적인 방폭설계자나 방폭기술자와 협력해야 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과 공장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방폭전기기기 선정요건
방폭전기기기는 설치된 지역의 방폭지역 등급을 구분해야 한다. 가스 등의 발화온도를 고려해야 한다. 내압방폭구조의 경우에는 최대안전틈새를 고려해야 한다. 본진안전방폭구조의 경우에는 최소점화전류를 확인한다. 가스 등의 발화온도의 분류와 적절히 대응하는 온도등급을 선정한다. 사용 장소에 가스가 2종류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장 위험도가 높은 물질의 위험 특성과 적절히 대응하는 것을 선정한다. 사용 중에 전기적 이상항태에 의한 방폭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에는 사전에 적절한 전기적 보호장치를 설치하도록 한다. 주변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40도 이내에서 사용하고 표고는 1,000미터 이하, 상대습도는 45 ~ 85% 이내에서 사용하도록 한다. 전기설비에 특별한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공해나 부식성가스, 진동 등이 없는 곳에서 사용하도록 한다.
'환경과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 측정을 위한 기기 분석 (0) | 2023.03.09 |
---|---|
정전기 재해 및 재해 방지 대책 (0) | 2023.03.07 |
환경 분석을 위한 일반적인 사항 (0) | 2023.03.06 |
전기로 인한 화재와 예방 대책 (0) | 2023.03.05 |
실내 환기, 후드를 통한 국소배기장치 (0) | 2023.03.04 |
댓글